본문 바로가기

GS글로벌 주가 전망 배당정보 2025.4

nyseinsight3 2025. 4. 18.

GS글로벌 종합상사의 현주소와 미래 전망

GS그룹의 핵심 계열사 중 하나인 GS글로벌(종목코드: 001250)은 철강, 석유화학, 석탄, 기계/물자 등 다양한 산업재의 수출입 및 삼국간 무역을 영위하는 대표적인 종합상사입니다. 오랜 업력과 광범위한 글로벌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안정적인 사업 기반을 구축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과연 현재 GS글로벌의 투자 매력도는 어느 정도 수준일까요? 본 포스팅에서는 GS글로벌의 주가 흐름, 실적 동향, 배당 정책 및 재무 건전성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투자 판단에 필요한 핵심 정보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기업 개요 및 핵심 비즈니스

GS글로벌은 1954년 설립된 금성산업을 모태로 하며,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기업입니다. GS그룹의 일원으로서 그룹사 간의 시너지를 창출하며 안정적인 성장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 부문은 크게 아래와 같이 나눌 수 있습니다.

  • 철강금속 (열연, 냉연, 후판 등)
  • 석유화학 (합성수지, 기초유화 등)
  • 자원/산업재 (석탄, 시멘트, 기계설비 등)
  • 신사업 (수입차 PDI, 전기차 충전 사업 등)

특히, 전통적인 무역업 외에도 새로운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합니다!

최근 주가 동향 분석 (2025년 4월 기준)

2025년 4월 4일 기준으로 GS글로벌의 주가는 2,560원을 기록하며 전일 대비 25원(+0.99%) 상승 마감했습니다. 이는 최근 1개월 수익률 -0.58%, 3개월 수익률 -7.08%와 비교했을 때 소폭 반등하는 모습입니다. 하지만 6개월 기준으로는 -31.00%로 다소 부진한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구분 가격/수치 비고
현재가 (2025.04.04) 2,560원 전일대비 +0.99%
52주 최고가 4,455원 현재가 대비 +74.0%
52주 최저가 2,325원 현재가 대비 -9.2%
시가총액 2,113억원 -
1개월 수익률 -0.58% 소폭 하락
3개월 수익률 -7.08% 중폭 하락
6개월 수익률 -31.00% 큰폭 하락

주요 투자 지표 (PER, PBR) 분석

투자 판단에 있어 핵심적인 지표인 PER(주가수익비율)과 PBR(주가순자산비율)을 살펴보겠습니다. 2024년 결산 실적 기준 GS글로벌의 PER은 3.90배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동일 업종 평균 PER인 10.94배와 비교했을 때 상당히 낮은 수준이죠? 주가가 기업의 이익 창출 능력 대비 저평가되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또한, PBR은 0.40배로, 이 역시 1배 미만으로 기업의 자산 가치 대비 주가가 낮게 형성되어 있음을 의미합니다. 주당순이익(EPS)은 657원, 주당순자산(BPS)은 6,449원으로 계산되었습니다. 과연 이 저평가 지표가 매수 기회일까요?!

투자지표 GS글로벌 업종평균 상대수준
PER 3.90배 10.94배 저평가
PBR 0.40배 1.22배 저평가
EPS (2024년) 657원 - -
BPS (2024년) 6,449원 - -

2023년에는 글로벌 경기 둔화 및 교역량 감소 영향으로 매출액이 큰 폭으로 감소했지만, 영업이익은 소폭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그러나 당기순이익은 급감했었죠. 다행히 2024년에는 매출액이 반등하고, 특히 당기순이익이 큰 폭으로 개선(+95.17%)되며 수익성이 회복되는 긍정적인 시그널을 보여주었습니다! 이익 증가 폭이 상당합니다.

- 분기별 실적 변동성 검토

2024년 분기별 실적을 보면, 영업이익은 1분기 171억원, 2분기 212억원, 3분기 246억원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다 4분기에 149억원으로 다소 주춤했습니다. 당기순이익(지배) 역시 1분기 118억원, 2분기 185억원, 3분기 152억원, 4분기 87억원으로 분기별 변동성을 나타냈습니다.

이는 원자재 가격 변동, 환율 등 대외적인 요인에 따라 종합상사의 실적이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투자자는 분기별 변동성과 외부 요인에 대한 민감도를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 수익성 지표 (ROE, ROA) 변화와 의미

기업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인 ROE(자기자본이익률)와 ROA(총자산이익률)를 살펴보겠습니다.

지표 2023년 2024년 변동
ROE 6.78% 11.36% +4.58%p
ROA 1.85% 3.95% +2.10%p

2023년 6.78%였던 ROE는 2024년 11.36%로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이는 자기자본 대비 이익 창출 능력이 향상되었음을 의미합니다. ROA 역시 2023년 1.85%에서 2024년 3.95%로 상승하며 자산 효율성이 좋아졌음을 보여줍니다. 수익성 개선 흐름은 분명 긍정적인 부분입니다!

재무 건전성 및 배당 정책 진단

투자에 있어 기업의 안정성, 즉 재무 건전성 확인은 필수적입니다. 또한, 주주 환원 정책의 일환인 배당금 역시 중요한 고려 사항입니다.

- 재무 상태표 분석: 부채비율 및 유동성

2024년 말 연결 기준 GS글로벌의 부채비율은 153.87%입니다. 이는 2022년 말 248.99%, 2023년 말 212.75%에서 꾸준히 하락한 수치로, 재무 구조가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지표 2022년 2023년 2024년
부채비율 248.99% 212.75% 153.87%
자본유보율 96.24% 104.09% 150.28%

자본유보율 역시 2023년 104.09%에서 2024년 150.28%로 증가하며 내부 유보 자금이 확충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는 재무 안정성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 현금 흐름표 분석: 영업, 투자, 재무 활동

현금 흐름은 기업의 실제 자금 사정을 파악하는 데 중요합니다. 2024년 GS글로벌의 현금흐름을 살펴보겠습니다.

현금흐름 구분 2024년 평가
영업활동 현금흐름 -217억원 부정적
투자활동 현금흐름 -520억원 투자 지출 증가
재무활동 현금흐름 -228억원 차입금 상환 등
FCF(잉여현금흐름) -1,069억원 부정적

특히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마이너스라는 점은 영업을 통해 실제 현금이 유입되기보다는 유출되었다는 의미로, 운전자본 부담 증가 등의 요인을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FCF(잉여현금흐름) 역시 -1,069억원으로, 현금 창출 능력에 대한 점검이 필요해 보입니다. 이 부분은 다소 우려스러운 점이네요?

- 배당 정책 및 배당 수익률

GS글로벌은 2023년 결산을 통해 주당 25원의 현금 배당을 결정했습니다. 이는 2025년 4월 4일 종가(2,560원) 기준 약 0.98%의 현금배당수익률에 해당합니다.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데 있어 실적은 빼놓을 수 없는 요소입니다. GS글로벌의 최근 실적 추이를 통해 성장성과 수익성을 면밀히 검토해 보겠습니다.- 연간 실적 추이 (2022년 ~ 2024년)연결 재무제표 기준으로 GS글로벌의 실적을 살펴보겠습니다.
배당 관련 지표 2023년 2024년(예상)
주당 배당금 25원 25원
배당수익률 0.98% 0.93%
배당성향 7.43% 3.81%
구분 2022년 2023년 2024년
매출액 5조 709억원 3조 9,165억원
(-22.77%)
4조 665억원
(+3.83%)
영업이익 705억원 765억원
(+8.59%)
779억원
(+1.78%)
당기순이익(지배) 702억원 278억원
(-60.45%)
542억원
(+95.17%)
EPS 851원 336원 657원

댓글